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C 로리앙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로리앙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모바일 AOS '펜타스톰'의 영웅에 대한 내용은 로리앙(펜타스톰 for Kakao) 문서
로리앙(펜타스톰 for Kakao)번 문단을
로리앙(펜타스톰 for Kakao)#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리그 1 워드마크.svg
2023-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33%> 파일:FC 낭트 로고.svg
||<width=33%> 파일:OGC 니스 로고.svg
|| 파일:RC 랑스 로고.svg
||
||<height=80> 파일:FC 로리앙 로고.svg
|| 파일:르아브르 AC 로고.svg
|| 파일:올랭피크 리옹 엠블럼.svg
||
||<height=80> 파일:LOSC 릴 로고.svg
||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 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
||
||<height=80> 파일:몽펠리에 HSC 로고.svg
|| 파일:FC 메스 로고.svg
|| 파일:스타드 브레스트 29 로고.svg
||
||<height=80>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svg
|| 파일:스타드 렌 FC 로고.svg
|| 파일: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로고.svg
||
||<height=80> 파일:클레르몽 푸트 63 로고.svg
|| 파일:툴루즈 FC 로고.svg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
||<-4><bgcolor=#091c3d,#5d7349> 리그 2 참가 클럽 보기 ▶ ||
||<-4><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레디비시
파일:벨기에 국기.svg 프로 리그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내셔널디비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프리미어 디비전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파일:웨일스 국기.svg 컴리 프리미어
||
||<-4>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파일:FC 로리앙 로고.svg
FC 로리앙
FC Lorient
정식 명칭Football Club Lorient-Bretagne Sud
별칭Les Merlus[1]
창단1926년 4월 2일 (98주년)
소속 리그리그 1 (Ligue 1)
연고지브르타뉴 레지옹 모르비앙 주 로리앙 (Lorient)
홈구장스타드 뒤 무스투아르 (Stade du Moustoir)
18,500명 수용
라이벌스타드 렌 FC / FC 낭트 / EA 갱강 / 스타드 브레스트 29 - 데르비 드 라 브르타뉴(Derby de la Bretagne)
회장로이크 페리 (Loïc Fery)
감독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지스 르브리 (Régis Le Bris)
주장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아베르젤 (Laurent Abergel)
역대 한국인 선수이상윤 (1999)
공식 웹사이트파일:FC 로리앙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기록
쿠프 드 프랑스
(1회)
2002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아드리안 그르비치 (Adrian Grbic)
(2020년, From 클레르몽 푸트 63, 900만 €)
최고 이적료 방출엔조 르페 (Enzo Le Fée)
(2023년, To 스타드 렌 FC, 2,500만 €)

1. 개요
2. 역사
2.1. 시즌별 리그 순위
3. 선수단
3.1. 주요 출신 선수
4. 여담



1. 개요[편집]


프랑스 리그 1에 소속되어 있는 프로 축구 클럽.


2. 역사[편집]


1926년 4월 2일 론(Rhône) 출신의 마담 퀴사르(Madame Cuissard)에 의해 현재와 같은 이름의 아마추어 클럽으로 발족하였다. 클럽 색상인 오렌지와 블랙은 창설 시에 여성이 착용하고 있던 옷에서 유래한다. 그 후 잠정적으로 전문화한 기간은 있지만, 1995년에 본격적으로 프로 팀이 된다. 1997-98 시즌 디비시옹 두(현재 리그 두)에서 2위를 차지해 처음으로 1부 리그에 승격했고 이것을 계기로 경기장은 크게 확장 공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1998-99시즌 승격 1시즌 만에 8승 11무 15패, 리그 16위에 그쳐 2부 리그로 떨어졌다.

그러다가 2000-01 시즌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하고 리그앙 시절인 2001-02 시즌 결승에서 SC 바스티아를 2-1로 이기고 쿠프 드 프랑스를 우승하며 팀 유일 우승 기록을 거뒀다.[2] 이 시즌 쿠프 드 라 리그(프랑스 리그 컵)에서도 준우승하고 트로페 데 샹피옹(슈퍼 컵) 준우승 같은 컵 대회에서 맹활약을 보인 반면, 리그 최하위로 또 1시즌 만에 강등당했다. 다음 시즌 2부 리그에 있으면서 UEFA 컵에도 출전했다.

그러다가 2006년에 4년만에 리그 앙에 다시 승격하였으며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가 2017년,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트루아에 패하면서 11년만에 2부리그로 강등되었다. 그리고 3년후인 2020년, 리그 앙으로 다시 승격하였다.

2021-22 시즌에도 리그 잔류에 성공했고 총 16위로 마친다.

22-23 시즌 초반기에 리그앙 돌풍의 팀이라고 말해도 손색이 없을정도로 질주를 하고 있다

2.1. 시즌별 리그 순위[편집]


파일:FC 로리앙 로고.svg
시즌별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967-682디비지옹 28
1968-692디비지옹 211
1969-702디비지옹 211
1970-712디비지옹 26
1971-722디비지옹 211
1972-732디비지옹 211
1973-742디비지옹 26
1974-752디비지옹 23
1975-762디비지옹 23
1976-772디비지옹 216
1977-783디비지옹 314
1978-794디비지옹 413
1979-805리그 드 루에스트11
1980-815리그 드 루에스트11
1981-826디비지옹 수페리외르 레지오날1
1982-835리그 드 루에스트1
1983-844디비지옹 41
1984-853디비지옹 31
1985-862디비지옹 216
1986-873디비지옹 31
1987-882디비지옹 218
1988-893디비지옹 31
1989-902디비지옹 216
1990-913디비지옹 34
1991-923디비지옹 31
1992-932디비지옹 218
1993-943나시오날 14
1994-953나시오날 11
1995-962디비지옹 212
1996-972디비지옹 29
1997-982디비지옹 22
1998-991디비지옹 116
1999-002디비지옹 213
2000-012디비지옹 22
2001-021디비지옹 118
2002-032리그 24
2003-042리그 24
2004-052리그 210
2005-062리그 23
2006-071리그 114
2007-081리그 110
2008-091리그 110
2009-101리그 17
2010-111리그 111
2011-121리그 117
2012-131리그 18
2013-141리그 18
2014-151리그 116
2015-161리그 115
2016-171리그 118
2017-182리그 27
2018-192리그 26
2019-202리그 21
2020-211리그 116
2021-221리그 116


3. 선수단[편집]


파일:FC 로리앙 로고.svg
FC 로리앙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FC 로리앙 스쿼드
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비고
1파일:세네갈 국기.svgGK알프레드 고미스Vito Mannone1993.09.05 (30세)
2파일:브라질 국기.svgDF이고르 시우바Igor Silva1996.08.21 (27세)
3파일:튀니지 국기.svgDF몬타사르 탈비Montassar Talbi1998.05.26 (26세)
5파일:프랑스 국기.svgDF뱅자맹 멘디Benjamin Mendy1994.07.17 (29세)
6파일:프랑스 국기.svgMF로랑 아베르젤Laurent Abergel1993.02.01 (31세)주장
7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FW스테판 디아라Stéphane Diarra1998.12.09 (25세)
8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MF봉케 이노센트Bonke Innocent1996.01.20 (28세)
12파일:카메룬 국기.svgDF다를랭 용과Darlin Yongwa2000.10.22 (23세)
15파일:프랑스 국기.svgDF쥘리앵 라포르트Julien Laporte1993.11.04 (30세)
17파일:프랑스 국기.svgMF캉탱 부아스가르Quentin Boisgard1997.03.17 (27세)
18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MF바모 메이테Bamo Meïté2001.06.20 (22세)
21파일:프랑스 국기.svgDF쥘리앵 퐁소Julien Ponceau2000.11.28 (23세)
22파일:프랑스 국기.svgFW요안 카틀린Yoann Cathline2002.07.22 (21세)
24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DF제던 칼룰루Gédéon Kalulu1997.08.29 (26세)
25파일:프랑스 국기.svgDF뱅상 르고프Vincent Le Goff1989.10.15 (34세)
29파일:프랑스 국기.svgFW시리네 두쿠레Siriné Doucouré2002.04.08 (22세)
31파일:프랑스 국기.svgMF레두안 부를레스Redwan Bourlès2003.01.02 (21세)
37파일:프랑스 국기.svgDF테오 르브리Théo Le Bris2002.10.01 (19세)
38파일:스위스 국기.svgGK이봉 음보고Yvon Mvogo1994.06.06 (29세)
70파일:프랑스 국기.svgMF아딜 아우치체Adil Aouchiche2002.07.15 (21세)
77파일:프랑스 국기.svgGK테디 바르투시Teddy Bartouche1997.11.12 (26세)
-파일:프랑스 국기.svgFW케니 나제라Kenny Nagera2002.02.21 (22세)[b]
구단 정보
구단주: 로이크 페리 / 감독: 레지스 르브리 / 홈 구장: 스타드 뒤 무스투아르
틀 정보
출처: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12월 8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3.1. 주요 출신 선수[편집]


  • 한국에선 1999년 2월 축구 선수 이상윤이 입단하여 화제를 낳았지만 몇 경기 뛰지도 못한 채로 팀이 강등당하고 이상윤에게도 안 좋은 기억만 남겼다. 여기에 스위스 슈퍼 리그 세르베트 FC에서 뛰고있는 박정빈을 노린 적도 있지만, 결국 박정빈은 FC 서울로의 이적을 선택했다.

  • '제2의 지단'으로 유명한 요앙 구르퀴프의 아버지인 크리스티앙 구르퀴프 (Christian Gourcuff)가 오랫동안 감독으로 있었다. 유럽에서도 정말 특이한 감독 경력의 소유자인데, 로리앙에서만 24년간 감독으로 재직하였다. 1982~1986년, 1991~2001년 10년, 그리고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재직하였다.



4. 여담[편집]


  • 2020년 12월 20일 스타드 렌과의 홈 경기에서 0:3으로 패했는데 갑자기 조명탑이 쓰러지는 사고가 있었고 경기장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깔려서 병원으로 옮겼지만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1] 대구과 심해어 이름.[2] 이 결승전 뒤풀이에서 레미 가이아르가 선수들 사이에 잠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